[5분세계증시] 코스피 사흘 연속 하락…기관·외인 매도에 2,400선 무너져<br />[뉴스프라임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증시와 우리 증시를 짚어보는 시간 5분 세계 증시입니다.<br /><br />연합인포맥스 정윤교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 증시는 사흘 연속 불안한 흐름을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장 움직임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오늘 시장은 2,400선을 내주고 말았습니다.<br /><br />코스피는 전장 대비 0.79% 내린 2,382.78에, 코스닥은 전장보다 1.45% 하락한 770.04에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원달러 환율 부담과 미국의 공격적인 긴축 행보로 투자심리가 계속 위축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오늘 오전 발표된 중국의 경제 지표는 호조를 보였지만, 달러·위안 환율도 치솟으면서 중국 증시를 끌어내렸고, 국내 투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.<br /><br />원달러 환율은 1,400원대 진입을 저지하려는 당국의 개입으로 1,400원 코앞인 1,399원까지 올랐다가 1,388원에 마감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도 힘겨운 하루였는데, 업종별로도 짚어볼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부분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네이버는 사흘 연속 52주 신저가를 경신했고요.<br /><br />삼성전자는 장중 5만5천500원까지 떨어지면서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가 장 막판에는 매수세가 몰리면서 상승 마감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하락장 속에서도 선방한 종목들이 있었는데요.<br /><br />환율 상승의 수혜주로 여겨지는 현대차와 기아는 1% 넘게 올랐고요.<br /><br />카카오페이는 신원근 대표의 자사주 매입 소식에 3% 넘게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또 SM엔터테인먼트는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의 개인 회사와의 결별 소식에 18% 이상 급등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해외 증시 상황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미국에서 다우 지수는 2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간밤 뉴욕 증시는 다시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개장 전에 발표된 소매판매가 견조한 모습을 보이면서 상승 출발했지만, 결국 긴축 우려를 재확인하면서 하락 전환했습니다.<br /><br />다우지수는 전장보다 0.56% 하락한 3만961.82에 장을 마쳤고, 종가 기준으로 7월 14일 이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주저앉았습니다.<br /><br />S&P500지수는 전장 대비 1.13% 밀린 3천901.35에 거래를 마감하면서 심리적 지지선인 3천900선 코앞까지 왔고요.<br /><br />나스닥지수는 1.43% 내렸습니다.<br /><br />8월 소매 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보다 0.3% 증가한 6천833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인플레이션에도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 규모가 예상보다 견조했던 겁니다.<br /><br />연준의 긴축 우려가 시장을 지배하면서 밤사이 국채 금리는 강세를 유지했고 증시에 부담을 줬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시장에 긴장감이 계속되면서 6월에 기록했던 연저점마저도 깨는 건 아닌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요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월가에서 나오는 여러 의견들을 보면 전망은 엇갈립니다.<br /><br />S&P500지수는 지난 6월에 3천630선까지 내리면서 연저점을 기록한 바 있는데요.<br /><br />한쪽에선 이 연저점을 다시 테스트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물가가 쉽게 빠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연준은 계속 공격적으로 갈 거고 당분간 지수 조정은 불가피할 거란 논리고요.<br /><br />기업들의 3분기 실적 예상치가 지난 7월 이후 절반 이상 줄었다는 조사 결과도 새로 나오면서 추가 하락 가능성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또 다른 쪽에선 그래도 물가 상승폭이 낮아지고는 있기 때문에 주가가 연저점보다 더 낮아지지는 않을 거란 희망적 예상도 나옵니다.<br />또 올해는 11월에 중간선거가 있는데, 보통 선거 전후로 주가는 올라가는 경향을 보이거든요.<br /><br />따라서 연말쯤에 증시가 반등할 수 있을 거란 얘기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월가에선 연준 때문에 디플레이션이 올 거라는 목소리도 나온다면서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디플레이션이 올 거라는 현지 주요 인사들의 목소리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에서 '돈나무 언니'로 유명한 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 CEO는 연준이 큰 폭의 금리 인상으로 실수를 하고 있다면서 곧 디플레이션에 직면할 거라고 경고했고요.<br /><br />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연준의 금리 인상이 디플레이션 위험을 초래한다면서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월가의 '신 채권왕'으로 불리는 제프리 건들락 더블라인캐피털 CEO도 연준이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경제를 과하게 휘두르고 있다면서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을 보탰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마지막으로 다음 주 월요일까지 증시 전망, 그리고 주요 일정 소개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늘 장을 마감한 아시아 시장에 이어 지금 유럽 시장도 온통 파란 상태고요.<br /><br />미국 S&P500 선물과 나스닥100 선물도 일제히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업종별로도 금융, 건강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이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다음 주 FOMC를 앞두고 금리 인상에 대한 경계가 계속 시장에 큰 부담을 주고 있고요.<br /><br />오늘 밤엔 미국인들의 소비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9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가 발표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또 다음 주 월요일에는 영국과 캐나다 시장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서거로 휴장하고, 일본 시장도 '경로의 날' 공휴일을 맞아 쉽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금까지 5분 세계증시였습니다.<br /><br />정윤교 기자 잘 들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